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갈비뼈가 앙상한 사자.<br><br>바깥 세상에 나왔다가 20분 만에 사살당한 사순이.<br> <br>왜 이렇게 동물들이 우리 밖으로 뛰쳐나올까 궁금해서 실태를 취재했습니다.<br> <br>이유가 있었습니다.<br> <br>현장카메라, 전민영 기자입니다.<br><br>[기자]<br>뒤에 보이는 검정 비닐하우스, 사설 동물원입니다 <br> <br>동물을 직접 만지거나 먹이를 줄 수 있는데요 <br><br>이곳의 동물들 어떤 환경에 놓여있을까요 <br><br>현장으로 가보겠습니다.<br> <br>긴꼬리가 특징인 미국너구리 코아티. <br> <br>그런데 관리가 안 돼 꼬리가 잘려 있습니다. <br> <br>두 마리 다 과도하게 온몸을 긁는 불안증세를 보입니다. <br> <br>옆 사육장에 있는 미어캣도 꼬리가 잘려 있고, 친칠라는 피부병이나 영양 불균형이 의심되는 상태였습니다. <br> <br>[이혜원 / 동물자유연대 동물복지연구소 소장] <br>"털 상태가 굉장히 안 좋았어요. 외부의 자극에도 반응이 좀 없는 편이고 여러 가지를 놓고 봤었을 때 곧 죽을 수도 있겠다…." <br> <br>기니피그는 탈모가 심하고, 토끼는 등 쪽 살갗이 벗겨졌습니다. <br> <br>타조 우리 안 물은 녹조가 잔뜩 껴있고, 방문객들이 먹이를 넣어주는 동그란 관도 오염돼있습니다. <br> <br>[김영진 / 경기 고양시] <br>"냄새도 좀 나고… 여름일 때는 더 좀 그래 보여요, 위생적으로." <br> <br>사설 대형 동물원의 동물들은 행복할까. <br><br>저희가 여러 번 동물원을 오가며 지켜봤는데요 <br> <br>고개를 흔들고 같은 자리를 맴도는 정형행동을 계속 보이고 있습니다<br> <br>곰뿐 아니라 라쿤도 유리 앞만 오가길 수십 번. <br> <br>이곳에선 두 달 전 혼자 살던 왈라비가 죽었습니다. <br> <br>[동물원 관계자] <br>"왈라비가 있었는데 폐사를 했어요. (왜요?) 장이 안 좋았었나 봐요. 그렇게 열악하지는 않아요." <br> <br>이곳 동물들은 모두 자연 채광이나 환기가 불가능한, 실내에서 살고 있습니다. <br> <br>아이 교육을 위해 찾았다가도, 열악한 환경에 재방문은 주저하게 됩니다. <br> <br>[동물원 관람객] <br>"관리가 너무 안 돼 있는, 실내 청소라든가 이런 게 안 좋아서 아이들 보여주기 미안한 마음도 있고, '아... 마지막이다. 가지 말아야겠다'" <br> <br>취재진은 사육사로부터 적나라한 실태를 들을 수 있었습니다. <br> <br>김 씨는 한 사설 동물원에서 일한 지 3일 만에 퇴사를 결심했습니다. <br> <br>[김 씨 / 전 동물원 사육사] <br>"하루에 한 마리씩은 꼭 죽고, 창고 같은 곳에 들어가면 거기에도 또 애들이 쌓여있어요. 살아 있는 애들인데 조금 아프거나 (하면) 케이지에 쌓여서 그냥 갇혀 있어요." <br> <br>후원도 받았지만 동물에게 돌아가는 건 없었습니다. <br> <br>[김 씨 / 전 동물원 사육사] <br>"먹이를 손질하는데 이게 진짜 손질해도 되는 거 맞나 싶은 상태의 과일들과…. 후원받았다 알고 있는데, 음식물 쓰레기 같은 걸 버리려 모으면 그걸 (먹이려고) 또 버리지 말래요." <br> <br>사설 동물원은 영리 목적으로 운영되기 때문에 동물복지는 뒷전이기 십상입니다. <br><br>논란이 커지자 오는 12월부터 모든 동물원은 일정 이상 시설 기준을 갖추고 허가 역시 받아야 합니다. <br><br>하지만 유예 기간은 무려 5년. <br> <br>그만큼 동물이 감내해야 할 고통의 시간도 아직 길게 남아 있습니다. <br> <br>현장카메라 전민영입니다. <br> <br>PD : 장동하 윤순용 <br>AD : 석동은 <br>작가 : 전다정<br /><br /><br />전민영 기자 pencake@ichannela.com